자바11 기본형 데이터 타입 기본형 데이터 타입 : 실제 값을 2진법으로 변환 하여 해당 공간에 저장한다. 기본형 데이터 타입에는 정수형, 실수형, 문자형, 논리형 4가지 종류가 존재한다. 정수형 : byte short int long 실수형 : float double 문자형 : char 논리형 : boolean 기본형 데이터타입은 이렇게 8가지 종류만 존재한다. 2022. 3. 13. 22.03.02_06 데이터 타입 자료형 데이터타입 자료형이란 해당 공간(변수 혹은 상수)에 어떤 종류의 값을 저장 가능한지 지정하는 것이다. 자료형에는 크게 기본형 데이터타입 참조형 데이터타입 이 존재한다. 기본형 데이터 타입 : 실제 값을 2진법으로 변환 하여 해당 공간에 저장한다. 기본형 데이터 타입에는 정수형, 실수형, 문자형, 논리형 4가지 종류가 존재한다. 정수형 : byte short int long 실수형 : float double 문자형 : char 논리형 : boolean 기본형 데이터타입은 이렇게 8가지 종류만 존재한다. 참조형 데이터 타입 : 실제 값은 별개의 공간에 저장되고, 변수 혹은 상수에는 그 공간에 접근 할 수 있도록 별개의 공간의 메모리 주소값이 저장이된다. ( 핸드폰 단축번호처럼 실제 값이 아닌 찾는 값.. 2022. 3. 13. 상수 선언 상수의 선언 명령어는 final 이다. 상수는 한번 값이 할당 되면 다른 값을 할당 할 수 없다. final 데이터 타입 상수이름; 으로 선언한다. final int NUMBER; NUMBER= 20; final int NUMBER = 20; 2022. 3. 13. 22.03.02_05 상수 상수(Constant) 변수와 마찬가지로 상수도 값을 저장하는 공간이지만, 차이점은 상수는 딱 한번만 값을 저장 할 수 있다. 상수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선언한다 final 데이터타입 상수이름; 2022. 3. 13. 이전 1 2 3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