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 if 문을
num = 2
if num % 2:
result = '홀수입니다.'
else:
result = '짝수입니다.'
print(result)
이렇게 삼항연산자로 표현 할 수 있다.
result='홀수입니다' if num % 2 else '짝수입니다'
print(result)
@@@@
여기서 else 뒤에 0만 들어 있는건 앞의 value = 이 생략 된 것이다.
삼항 연산자를 쓸 때는 이 부분을 생략 할 수 있다.
num = -5
value = num if num >= 0 else 0
print(value)
num =-5
if num>=0:
value = num
else:
value = 0
print(value)
'파이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몫과 나머지를 한번에 구하기 divmod( , ) (0) | 2022.07.24 |
---|---|
부동 소수점 해결 (0) | 2022.07.24 |
range() 함수로 배열 만들기 (0) | 2022.07.20 |
enumerate 순회 (0) | 2022.07.20 |
for 문, 딕셔너리 순회 (0) | 2022.07.20 |